최근 호감있는 기업 사회공헌팀이 CSV 팀으로 전환을 했다. 지인이 국내 기업의 모범 CSV 사례를 책으로 엮는다는 소식을 전해왔다. 얼마 전 만난 기업 재단 담당자가 기업들이 CSV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거나 역량이 없는 상태에서 예전처럼 김치담그기를 하고 있다는  말을 들었다.  CSV와 관련되어 여전히 여러 가지 기대와 평가가 있지만, 문득 나는 마이클 포터와 마크 크레이머로부터 촉발된 이 개념을 원문으로 읽어나 보았던가 하는 반성이 들었다.

2011년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  마이클 포터의 공유가치창출(Creating Shared Value)을 ①가능한 원문을 살려 요약하고, ② 아름다운재단 실무자들의 의문과 논쟁거리는 무엇인지 정리하고 ③ 각 분야의 전문가(기업사회공헌 담당자, 아름다운재단 모금가, 학계) 가 직면한 현실과 의견을 들어보고자 한다.


<연재 모아보기>


 

공유가치창출(Creating Shared Value, 이하 CSV) 관련 논의를 위해 매일 아침 딱 30분씩 모여 강독한 결과 한달만에 원본 번역을 마쳤다. 한달 후 아름다운재단의 실무자들이 모여 한바탕 논의가 이루어졌다.  

[사진출처]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출처]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CSV는 기업전략에서 출발


처음 CSV 논의를 해보자고 한 이유는 많은 사람들이 원문에 대한 이해가 없이 논의를 한다는 문제의식이었다. 어떤 기업은 CSR팀을 CSV팀으로 전환하고는 똑같이 김치담그기 행사를 한다. 물론, 플랭카드에는 CSV 라고 바꿔걸고는. 마이클포터의 CSV가 완전히 새로운 개념이 아니라는 문제의식도 있다. 블렌디드 밸류(Blended Value), 사회혁신(Social Innovation), BOP(Bottom of Pyramid) 등은 CSV 논의 이전에 나온 유사한 개념이기도 하다. 하지만 가장 헛갈리지 말아야 할 것은 CSV는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 차원에서 도출되었다는 것이다.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법 중 하나로 제시할 수 있겠지만, 기업에서 출발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아름다운재단에는 모금팀이 기업의 사회공헌을 컨설팅하는 역할을 한다. 우리가 기업에 CSV 차원으로 제안하는 경우가 있는가.


기업이 사회공헌을 어떻게 바라보냐는 해당 부서가 어떻게 위치하고 있는가를 보면 알수 있다. 최근에는 사회공헌팀으로 많이 분화가 되었지만, 일반적으로 인사총무 또는 홍보팀 내 배치가 되어 있다. 홍보팀내 배치된 사회공헌 활동은 결과에 대한 홍보 아웃풋을 더 요구할 수 밖에 없게 된다.  CSV는 기업의 가치창출을 위해 벨류체인(Value Chain)을 바꾸는 일이기도 한데, 그렇다면 기획조정실 단위에서 다루지 않으면 안된다. 그런 측면에서 재단이 기업에게 CSV를 제안한다는 것은 어이없는 일일수 있다.

 



모범사례


일하면서 CSV의 좋은 사례를 본적이 있는지


민관개발협력인 PPP(Public Private Partnership) 방식으로 국제개발을 하는 곳이 있다. 개발도상국 지원을 정부 지원과 매칭을 해서 진행한다. 또한 한 통신사의 경우 통신망을 현지에 지원하고 있는데 이런 것도 포함될 수 있는것 아닌지.


삼성이 그린 메모리로 작년에 포터상 받을 것을 기대했다고 한다. 에너지를 절감하는 혁신 기술을 제공하는 것으로.  한국야쿠르트에서는 방문판매원 일명 야쿠르트 아줌마를 통해 복지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들은 방문판매로 매출향상뿐 아니라 집집마다 사정을 알수 있는 장점이 있다. 노인의 경우 10개의 병을 반납하면 야쿠르트 1개를 더 준다. 친환경적인 임팩트도 있다. 기업이 갖고있는 핵심역량을 활용해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획득하고 있다.

기업의 핵심사업과 사회문제 해결을 잘 연결시켰다는 것은 전략적 사회공헌활동(CSR)에 가깝다. 전략적 사회공헌활동은 기업활동의 부수적인 효과(Side effect)로 나오지만, CSV는 기업의 역량을 전환시켜야 가능하다.


CSV는  모든 기업이 지향해야 할 가치는 아니다. 기업으로서의 가치창출 기회와 업종도 맞아떨어져야 한다. CSV를 할 수 있는 기업은 굉장히 제한적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이들은 아주 많은 사회적 문제 중 일부를 담을 수 있다.

 



기업과 비영리가 경쟁관계?


기업 사회적책임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비영리기관과 협력했던 사업을 독자적으로 수행하게 되고, 기업과 비영리기관이 경쟁관계가 된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다. 비영리에서 활동하는 친구들은 기존에 우리가 했던 활동의 영역을 자원이 더 많은 기업이 수행하게 되면서 입지가 좁아지는 것 아닌지 현실적으로 우려하기도 한다.


사회문제를 누가 얼마나 해결할 것인가 문제이다. 예를 들어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가 사회 문제라면,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이 하고 있는 활동이 결과적으로 잘 수행이 되었나를 확인해야 한다. 즉, 비영리가 직접 들어가 컴퓨터와 인프라 제공하는 일을 하던 일을 기업이 대체하게 된다면 비영리가 해야 하는 일의 방식이 달라져야 한다고 본다.


탐스슈즈의 경우 신발 한 켤레를 팔면 저소득 국가의 아이들에게 한 켤레 신발은 무상으로 제공했지만, 그 나라의 신발공장이 살아남지 못하게 만들었다는 비판이후 현지에 공장을 세우는 방식으로 전환했다.


 

이후 사람이 아닌 지역의 변화를 추구하는 변화이론에 대한 이야기와  연계의 다각화 차원에서 재단이 사회적경제 방식을 도입하는 것은 어떠한가 하는 논의로 흘러갔습니다. 사회적경제와 관련해서는 재단이 다루어야 하는 사회적문제가 무엇인지 먼저 파악한 후 접근해야 하지 지원 방식을 바꾸는 것은 아니라는 의견이 있었으며, 이후에는 자본주의와 시장경제를 무엇으로 볼 것인가 하는 어마어마한 접근까지 하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나와 우리, 조직이 할 수 있는 범위를 그리다 보니 여러 접근이 가능하다는 그리고 더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든 논의자리였습니다.


다음 글에는 5년차 기업사회공헌 담당자가 말하는 CSV에 대해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글 >




 연구교육팀장윤주 간사 sam@beautifulfund.org  02-6930-4564
Change, Not Charity.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